본문 바로가기
정부지원금

청년내일채움공제 플러스와 5년 상품 및 제외 산업과 제도 폐지에 관하여

by 마이돈 2023. 12. 20.

청년내일채움공제 플러스와 5년 상품 및 제외 산업과 제도 폐지에 관하여

청년내일채움공제 플러스?

청년내일채움공제 플러스란 청년내일채움공제의 후속작 같은 느낌의 정부 지원 제도로 그냥 청년내일채움공제보다 좀 더 확대된 지원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좀 더 구체적인 차이를 말씀드리면, 그냥 청년내일채움공제가 2년 동안 개인이 총 400만원을 적립하면, 기업과 정부로부터 같은 금액의 지원금을 적립 받아 만기시 총 12,00만원의 적금을 받는 것이었다면,

 

 

청년내일채움공제 플러스는 3년간 개인이 총 600만원(1년차 월 14만원x12개월, 2~3년차 월 18만원x24개월)을 적립하면, 마찬가지로 기업과 정부가 각각 600만원씩 동일한 금액을 추가 적립해주어 만기시 총 1,800만원을 받게 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를 한마디로 좀 더 쉽게 정리하면 2년 적립하던걸 3년으로 늘려 더 많은 지원금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든 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5년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5년

청년내일채움공제 플러스와 비슷한 느낌으로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5년 지원금도 있는데요. 이는 지원금 이름처럼 재직 중인 정규직 근로자가 5년동안 적립금을 적립하는 제도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이 제도는 다른 내일채움공제와는 좀 다르게 기업과 정부가 적립하는 금액이 개인보다 더 높습니다.

 

 

개인이 5년간 720만원(최소 월 12만원 × 60개월)을 적립한다면

 

기업은 5년간 1,200만원(최소 월 20만원 × 60개월)을 적립하고

 

정부는 3년간 1,080만원을 적립(3년간 7회 분할적립)해 주는데요.

 

이를 총 합하면 720만원 + 1,200만원 + 1,080만원 = 3,000만원이 됩니다.

주의사항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5년형은 5년동안 720만원의 돈을 넣어 두어야 하긴 하지만 그래도 3,000만원의 목돈을 얻을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충분히 가치가 있는데요.

 

단, 만기 후 준비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50% 감면 세액 신청서입니다. 앞서 소개해 드린 내일채움공제 2년형이나 3년형의 경우 따로 세금을 납부하지 않지만 5년형은 기업의 납부액이 근로 소득으로 잡히기 때문에 세금을 납부해야 하는데요. 이때 감면세액 신청서를 제출하면 근로소득세 50%을 감면 받으실 수 있게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청년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https://www.sbcplan.or.kr)에서확인해 보실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제외 산업

청년내일채움공제 제외 산업

청년내일채움공제의 경우, 특정 산업에 한정하여 지원이 이루어지며, 일부 산업은 제외됩니다.

지원 업종

2023년 기준으로는 제조업과 건설업에 종사하는 청년이 청년내일채움공제의 대상 업종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이는 인력 부족이 심각한 업종에 초점을 맞춘것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제조업과 건설업 이외의 업종, 특히 중소기업 범주에 속하지 않는 대기업이나 특정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분들은 청년내일채움공제의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기업 규모 제한

제조업이나 건설업에 종사하고 있더라고 만약 종사하고 있는 기업의 규모가 크면 제외될 수 있습니다. 지원 대상은 5인 이상 50인 미만인 중소기업입니다.

 

타 자산 형성 사업과의 동시가입 허용

청년내일채움공제와 타 자산 형성 사업(예: 청년내일저축계좌, 신규청년도약계좌 등)과의 동시 가입이 가능해졌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에 대한 내용은 다음 글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 사회초년생 청년내일채움공제 자격 조건 및 청약 신청과 만기 중도해지

 

청년내일채움공제 2024년 폐지?

청년내일채움공제 2024년 폐지?

2024년 청년내일채움공제의 운영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한 발표가 없습니다. 하지만 인터넷에 올라온 일부 글들을 읽어보면 2024년에 청년내일채움공제가 사실상 폐지될 수 있다는 내용이 언급되어 있는데요. 이러한 이유는 예산 조정, 가입자 수 감소, 정책 방향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정부 정책은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바뀔 수 있는 부분이므로 정확한 정보를 위해서는 청년내일채움공제의 공식 홈페이지(https://www.sbcplan.or.kr)나 고용노동부의 공식 발표를 참조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어쨌든 요즘같이 물가는 오르고 금리는 낮은 시대에 이러한 좋은 혜택이 있다면 확실하지 않더라도 일단 먼저 체크해보시고 받으실 수 있다면 꼭 혜택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