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지원금

실업급여 계산 방법과 권고사직시 주의해야 할 점

by 마이돈 2023. 12. 16.

실업급여 계산 방법과 권고사직시 주의해야 할 점

실업급여의 의미

실업급여는 근로자가 일정 조건 하에 직장을 그만두었을 때, 재취업 할때까지 일정 기간 동안 정부로부터 경제적 지원을 받는 제도를 의미 하는데요.

 

실업급여의 대상은 일반적으로 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들이며, 그 목적은 실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 어려움을 완화하고, 실직자가 새로운 일자리를 찾는 동안 생활 안정을 돕기 위함입니다.

 

이전글에서 실업급여의 조건과 신청방법을 설명했었는데요. 오늘은 실업급여를 계산하는 방법과 권고 사직 여부도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서 그러한 내용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 작지만 큰 힘이 되는 실업급여 조건과 신청 방법

실업급여 계산 방법

실업급여 계산 방법

실업급여의 계산 방법은 대한민국의 고용보험 제도에 따라 결정되며 주로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결정됩니다.

 

1) 일 평균임금 산정

실업급여의 계산은 최근 3개월 동안의 임금을 기준으로 합니다. 이 기간 동안의 총 임금을 근무일 수로 나누어 일 평균임금을 산정합니다.

2) 일 평균임금의 비율 적용

실업급여는 일 평균임금의 일정 비율로 지급됩니다. 이 비율은 일반적으로 50%에서 60% 사이이며, 정책의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고용보험 홈페이지(https://www.ei.go.kr/) 등에서 항상 최신 정보를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3) 지급 기간 계산

실업급여의 지급 기간은 고용보험 가입 기간과 근로자의 연령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는 최소 90일에서 최대 240일 정도까지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4) 특별한 예외의 경우

특정 조건 하에는 실업급여 계산 방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임금 감소나 근로시간 단축 등 특수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는 다른 방식의 계산식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5) 실업급여 계산기

네이버 검색창에 '실업급여 계산기'(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ie=UTF-8&sm=whl_hty&query=실업급여+계산기)라고 검색하시면 임금 계산기의 실업급여 탭에서 퇴직시의 만나이와 고용보험 가입기간, 퇴직전 3개월의 1일 평균급여액을 입력하여 예상 수급액과 기간을 계산해 보실 수 있습니다. 물론 이 금액은 정확한 수치는 아니며, 실제 받게 되는 금액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와 권고사직 시 주의해야 할 점

권고사직시 주의사항

권고사직이란 회사 측에서 근로자에게 사직을 권유하고 근로자가 이를 승낙한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근로자의 동의를 구한다는 점에서 해고와는 법적으로 의미가 다르며, 비자발적인 퇴사 형태로 간주되어 퇴직급여 대상자에 포함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종종 법적으로 복잡한 문제를 수반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근로자는 권고사직으로 퇴사를 했으나 회사의 입장에서는 자발적 퇴사로 신고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근로자는 퇴직 급여를 받기 위해 권고사직한 사실을 스스로 증명해야 하는데, 이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퇴직 과정에 대한 녹취나 문자 내용 또는 권고 사직 이메일 등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권고 사직을 하시는 분들은 아무리 회사를 믿을 수 있다고 하더라도 만일을 대비하여 위와 같은 증거들을 모아 두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